가능도 likelihood (9563)
[위키백과] 가능도 가능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통계학에서, 가능도(可能度, 영어: likelihood) 또는 우도(尤度)는 확률 분포의 모수가, 어떤 확률변수의 표집값과 일관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구체적으로, ko.wikipedia.org 통계학에서, 가능도(可能度, 영어: likelihood) 또는 우도(尤度)는 확률 분포의 모수가, 어떤 확률변수의 표집값과 일관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표집값에 대한 모수의 가능도는 이 모수를 따르는 분포가 주어진 관측값에 대하여 부여하는 확률이다. 가능도 함수는 확률 분포가 아니며, 합하여 1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로그 가능도(영어: log likelihood)는 가능도 함수의 로그이..
6. 딥러닝
2020. 8. 31. 10:1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learn
- Java
- database
- SQLAlchemy
- mariadb
- COLAB
- terms
- intellij
- Oracle
- maven
- docker
- KAFKA
- AWS
- React
- JUnit
- springMVC
- Django
- jQuery
- Python
- nodejs
- vscode
- FLASK
- ERD
- Eclipse
- Algorithm
- JPA
- Git
- Mongo
- SpringBoot
- tensorflow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