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형 변환(Type Conversion)
- 데이터를 다른 종류의 상자로 옮기는 것
- 형변환은 자동(묵시적) 형변환고 명시적 형변환 두가지로 나뉜다.
- 자동 형변환을 보통 Conversion 이라고 하고
- 명시적 형변환을 Casting 라고 한다.
Up -Casting (= promotion)
- 묵시적(Implicit) 자동변환(conversion)
- 자바가 제공하는 자동변환으로 묵시적(implicit)인 동작.
- 자동형 변환은 데이터타입의 표현범위가 작은쪽으로많은쪽으로 변환이 될때만 가능하다.
- double bar = 3.14D처럼 64 비트 데이터타입에 32비트 데이터 타입을 담는 경우이를 업캐스팅이라고 한다.
- 업캐스팅이 가능한 타입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 char -> int
Down -Casting
- 강제 형변환
- baz = ( int) qux 처럼 프로그램에서 데이터 타입이 큰 변수(64비트)를데이터 타입이 작은 변수(32비트)로할당하려 할때
- 명시적( int) 으로 타입을 지정하는 것으로
-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함에 유의해야함
'1.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N 분해하기 - substring(), charAt(), indexOf() (0) | 2020.05.03 |
---|---|
random 문자열, 숫자 만들기 (0) | 2020.05.03 |
Java 기초 정리 (0) | 2020.05.03 |
[자바] 제네릭( generics) 기초 (0) | 2020.05.03 |
백준 17173: 5의 배수의 개수와 합 (0) | 2020.05.03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ongo
- JPA
- mariadb
- AWS
- React
- Python
- SQLAlchemy
- Eclipse
- JUnit
- springMVC
- ERD
- vscode
- KAFKA
- Mlearn
- FLASK
- intellij
- maven
- Git
- docker
- Java
- SpringBoot
- Django
- Oracle
- COLAB
- jQuery
- Algorithm
- tensorflow
- nodejs
- database
- term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