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RDS 인스턴스 생성
2. 개발툴에서 WAR 추출
3. Elastic Beanstalk (EB) 작업
AWS FreeTier 환경에서 작업한다.
1. RDS 인스턴스 생성
RDS 를 생성한다. 이 방식은 EC2를 별도로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Elastic Beanstalk (이하 EB)를 통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RDS를 먼저 생성해서 접속정보를 소스코드로 가서 적용 후에 진행한다.
2. 개발툴에서 WAR 추출
개발 툴에서 WAR파일을 출력한다. 이클립스, VS코드, 인텔리제이에서 WAR 파일로 추출한다.
3. Elastic Beanstalk (EB) 작업
서비스에서 elastic beanstalk 를 검색해서 들어간다.[그림-1]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입력한다. 플랫폼 설정값은 개발시 개발스펙에 의존한다. [그림-2]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로컬에서 코드 업로드 방식을 선택한다.
EC2로 가면 자동으로 인스턴스가 생성된다.[그림-3]
퍼블릭 DNS 주소를 카피해서 브라우저에 붙이면 서버가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1]
[그림-2]
[그림-3]
'7. 클라우드(2)'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ecution jar on Spring Boot and H2 and Creation API Server (0) | 2020.09.01 |
---|---|
AWS 과금이 발생 주의점과 안전 탈퇴 처리 (0) | 2020.08.28 |
아마존/--/타쉬켄트/ AWS ec2 배포용 ShellScript 전문 (0) | 2020.08.27 |
Upload war file to aws-ec2 with filezilla (0) | 2020.08.26 |
[클라우드]<뉴스> 넷플릭스, 마지막 데이터센터 문 닫다 (0) | 2020.05.10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SQLAlchemy
- KAFKA
- Mongo
- maven
- jQuery
- Algorithm
- springMVC
- SpringBoot
- FLASK
- nodejs
- COLAB
- Python
- Git
- Mlearn
- tensorflow
- terms
- docker
- database
- React
- Django
- ERD
- Eclipse
- mariadb
- Oracle
- JUnit
- intellij
- Java
- AWS
- JPA
- vscod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